2025년부터 도입될 예정인 유산취득세는 기존 상속세와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새로운 세제 개편안의 주요 내용과 영향을 분석해 봅니다.
유산취득세 도입 배경과 필요성
유산취득세는 상속세의 대안으로 논의되어 왔습니다. 기존 상속세는 피상속인의 전체 재산을 기준으로 부과되었지만, 유산취득세는 상속인이 실제로 받는 금액에 따라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상속인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한편, 보다 공평한 세금 부과를 목표로 합니다.
현재 한국의 상속세율은 최대 50%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도 높은 편입니다. 이에 따라 부유층뿐만 아니라 중산층에서도 상속세 부담을 호소하는 사례가 많아졌습니다. 특히 가업 승계 시 과도한 세금이 부과되면서 기업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아졌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유산취득세 도입을 추진하며, 상속세의 구조적 문제를 개선하려 하고 있습니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유산취득세를 채택한 국가들이 많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독일, 프랑스, 일본 등이 있으며, 이들 국가는 피상속인의 전체 자산이 아닌 개별 상속인의 취득 금액을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유산취득세와 기존 상속세의 차이점
유산취득세는 기존 상속세와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 과세 기준: 상속세는 피상속인의 총 재산을 기준으로 과세, 유산취득세는 개별 상속인의 취득 금액을 기준으로 과세
- 세율 구조: 상속세는 최고 50% 누진세율, 유산취득세는 개별 차등 세율 가능
- 공제 방식: 상속세는 일정 금액 공제 후 과세, 유산취득세는 개별 공제 적용
유산취득세 도입이 가져올 변화
2025년 유산취득세 도입으로 인해 다음과 같은 변화가 예상됩니다.
- 상속세 부담 완화: 상속인이 개별적으로 세금을 부담하는 구조이므로, 기존 상속세보다 부담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중소기업 가업 승계 시 세제 혜택이 강화될 전망입니다.
- 부의 분산 효과: 기존 상속세는 상속인 수와 관계없이 총 재산을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했지만, 유산취득세는 상속인이 나누어 받는 재산 기준으로 과세됩니다. 따라서 다수의 상속인이 있을 경우 부담이 낮아지고, 자연스럽게 부의 분산 효과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절세 전략 변화: 기존에는 상속세 절감을 위해 사전 증여를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유산취득세로 전환되면 증여보다 상속이 유리한 경우도 생길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금융·세무 전문가들의 컨설팅 전략도 바뀔 전망입니다.
- 세수 변화: 정부 입장에서는 상속세보다 유산취득세가 보다 안정적인 세수 확보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과세 방식 변경에 따라 세수 감소 또는 증가 여부는 제도 시행 후 평가가 필요할 것입니다.
유산취득세, 새로운 변화에 대비하자
2025년 유산취득세 도입은 기존 상속세의 부담을 줄이면서도 보다 공평한 세금 부과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별 상속인의 재산 취득에 따라 세 부담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미리 절세 전략을 고민해야 합니다. 앞으로 발표될 세부 정책을 주시하면서, 가업 승계나 재산 상속을 고려하는 사람들은 전문가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